분류 전체보기(166)
-
[MSW] 메이플스토리 월드 지형과 레이어의 이해
※ 본 포스팅은 MSW 공식 디스코드 채널에 있는 개발 가이드 영상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TileMap 엔티티의 프라퍼티를 조정하여 타일 변경, 타일 색 변경, 풋홀드 옵션 설정이 가능하다. TileMap 엔티티의 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풋홀드는 마우스 오른쪽 클릭 -> Edit FootHold를 통해 수정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Add Point, Delete Point 등으로 세밀한 조정이 가능하다) (작업이 끝난 후엔 Exit Edit) 하나의 맵에 총 10개까지 레이어가 추가될 수 있으며, 맵 레이어 패널에서 활성화 비활성화, 잠금이 가능하다. 상단의 레이어가 위에 표시된다. 맵 레이어 패널에서 레이어 위에 오른쪽 클릭을 하여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미 배치된 엔티티의 레이어를 바꿔주고..
2022.11.08 -
[MSW] 메이플스토리 월드 기본 컴포넌트의 이해
※ 본 포스팅은 MSW 공식 디스코드 채널에 있는 개발 가이드 영상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TransformComponent 의 Position은 해당 Entity의 부모 기준 좌표를 나타낸다. ZRotation 또한 부모 기준 회전값을 나타낸다. SpriteRUID값이 해당 Sprite를 가리킨다. 이미지를 ID형태로 관리한 것. 외부 이미지 임포트 할 때도 RUID가 발급이 돼서, 해당 ID를 바로 사용 가능함. 연속된 이미지의 집합(애니메이션)도 RUID로 불러와 사용이 가능하다. PlayRate 값은 애니메이션의 속도를 결정한다. DrawMode를 Tiled로 설정해 반복적인 패턴을 연출할 수 있다.
2022.11.05 -
[MSW] 메이플스토리 월드 기본 개념의 이해
※ 본 포스팅은 MSW 공식 디스코드 채널에 있는 개발 가이드 영상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엔티티란, 월드 상에 존재하는 물체를 칭한다. 씬 메이커에서 볼 수 있는 모든 항목들을 엔티티라고 부를 수 있다. ex. 지형 타일, 월드, 물체, 배경 등등 각각의 엔티티들은 여러 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된 컴포넌트들의 성질을 가짐. 프로퍼티는 컴포넌트 내에 특정한 값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엔티티는 일반적으로 눈으로 확인 가능함. 모든 엔티티는 씬 메이커에 표기되어 있다. 서비스, 로직은 둘 다 월드 상 딱 하나만 존재한다. 두 개의 차이는 서비스는 월드의 로우 레벨단에서 무언가 제어하는 기능이 많다. 그래서 서비스에는 기본적인 기능이 많다. ex. 유니티의 기본 클래스 Debug.~..
2022.11.04 -
[MSW] 메이플스토리 월드 개발 기본의 이해
※ 본 포스팅은 MSW 공식 디스코드 채널에 있는 개발 가이드 영상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UIMakerRivision의 버전 기록하기를 통해 에디터 자체적으로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다. 최대 플레이어 수는 한 서버 당 입장 가능한 수를 말한다. Window의 Map List에서는 새 맵 만들기, 시작맵 설정, 맵 복제, 삭제 등을 할 수 있다. 그리드 정보, 풋 홀드 정보 표시를 통해 맵 타일을 더 상세하게 다룰 수 있다. 멀티플레이 테스트 기능은 테스트용 유저를 추가합니다를 통해 가능하다. 다른 클라이언트가 따로 구동된다. Statistic을 통해 간단한 fps 확인과 현재 마우스 위치값을 알 수 있다. Model list의 Object들은 아무 컴포넌트도 포함되지 않은 이미지 개체와 같다. Mo..
2022.11.03 -
[C#] Static을 알아보자
static 한정자를 사용하여 특정 개체가 아니라 형식 자체에 속하는 정적 멤버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static 한정자를 사용하여 static 클래스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 인터페이스 및 구조체에서 필드, 메서드, 속성, 연산자, 이벤트 및 생성자에 static 한정자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static 한정자는 인덱서 또는 종료자와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클래스 인스턴스에는 클래스의 모든 인스턴스 필드에 대한 별도 복사본이 포함되지만 각 static 필드의 복사본은 한 개만 있습니다. this를 사용하여 static 메서드 또는 속성 접근자를 참조할 수는 없습니다. static 키워드가 클래스에 적용된 경우 클래스의 모든 구성원은 static이어야 합니다. 정적 클래스는 기본적으로 비정..
2022.09.30 -
[Computer] 공용 언어 런타임 (CLR) 이란?
위키백과 공용 언어 런타임 (CLR) 이란? .NET 에서는 공용 언어 런타임이라고 하는 런타임 환경을 제공하는데, 코드를 실행하며 개발 과정을 더 쉽게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CLR은 공통 중간 언어라고 불리는 바이트코드의 형태를 실행한다. 공통 언어 런타임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은 C#이나 VB 닷넷과 같은 언어로 프로그래밍하며, 해당 언어의 컴파일러가 소스 코드를 공통 중간 언어 코드로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런타임에 CLR의 JIT 컴파일러가 공통 중간 언어 코드를 운영 체제의 네이티브 코드로 변환한다. 공통 언어 런타임의 가상 머신은 프로그래머들이 CPU의 자세한 부분까지 신경 쓰지 않아도 되게끔 해주며, 다음과 같은 다른 중요한 서비스도 제공한다. 1. 메모리 관리 2. 스레드 관리 3. 예외 ..
2022.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