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수업 내용(12)
-
22.01.17 텍스트기반 게임 만들기 Part.2
5) 몬스터가 있는 필드로 나가 고블린 무리와 싸운다. 5-1) 몬스터를 맞닥뜨리면 해당 몬스터의 정보 텍스트가 나온다. 5-2) 나 한대, 몬스터 한대 번갈아가면서 공격한다. 공격 성공 시 적의 남은 체력상태가 표시된다. 5-3) 고블린에게 패배하면 해당 캐릭터의 정보와 모든 게임 정보가 삭제된다. 5-4) 고블린에게 승리하면 골드 보상을 얻는다. 6) 게임 세이브를 하면 게임 진행 상태를 저장시킨다. 7) 무기에 내구도를 적용시킨다. 내구도 0이 되면 파괴된다. 8) 무기를 최대 2개까지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소스코드-------------------------------------------------------------------------------------- public App() { ..
2022.01.17 -
22.01.12 싱글턴 패턴으로 텍스트 기반 게임 만들기
쓰레드? 예외처리. tryParse? out, ref? 11일자 포스팅에 작은 오류가 있었다. 게임을 실행할 때마다 게임 진행상태 정보를 불러오는데, 불러올 때마다 이 코드에 의해 데미지가 증가되는 것. 이 코드는 Weapon을 만들 때 호출되는 생성자에 들어있는 코드이다. 아마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게임 진행상태 정보에 들어있는 Weapon 멤버 변수를 가져올 때 자동으로 이 생성자가 실행되는 것 같다. 그래서 Weapon의 강화수치에 따른 데미지 계산 공식을 바꿨다. 생성자에 멤버값 초기화변수를 넣는 대신에 Init() 메서드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를 몸으로 겪었다. 버그 수정. 이하 수업 과제-------------------------------------------------------------..
2022.01.12 -
22.01.11 싱글턴 패턴
static 이 뭔지 정확히 알아야 이해할 것 같다. 싱글턴 패턴 생성 ---------------------------------------------------------------------------------- public App() { DataMgr mgr = DataMgr.GetInstance(); DataMgr mgr2 = DataMgr.GetInstance(); mgr.testnum += 1; Console.WriteLine(mgr.testnum); Console.WriteLine(mgr2.testnum); } ---------------------------------------------------------------------------------- class DataMgr { p..
2022.01.11 -
22.01.08 Dictionary 키값쌍과 JSON 연동
1) 엑셀로 데이터를 관리 2) 데이터를 JSON으로 변환 3) 변환한 데이터를 txt파일로 저장 4) 저장한 것을 main함수에서 역직렬화시킴 5) 역직렬화된 데이터를 배열에 담는다. 6) 배열 안의 요소들을 미리 만들어둔 Dictionary에 차례대로 넣는다. 엑셀의 데이터가 JSON을 통해 프로그램 상에서 다룰 수 있게 됨. 이하 실습 과정----------------------------------------------------------------------------------------- http://shancarter.github.io/mr-data-converter/ Mr. Data Converter shancarter.github.io 위 링크에서 엑셀 데이터를 JSON형식 문법으로 ..
2022.01.08 -
22.01.05 대리자 delegate Part.2
--------------------본 블로그는 개인 공부 기록용이기에 잘못된 내용이 있을 확률 50000%----------------- 메서드 중 하나라도 메서드 내에서 catch되지 않은 예외를 throw하면 해당 예외가 대리자의 호출자에게 해당 예외가 전달되며 호출 목록의 후속 메서드는 호출되지 않습니다. 반환 값 및/또는 out 매개 변수를 포함하는 대리자는 마지막으로 호출한 메서드의 반환 값과 매개 변수를 반환합니다. delegate 형식 변수에 반환값을 가진 메서드가 여럿 있을 경우 마지막 메서드의 반환값만 출력이 된다. 대리자가 참조 매개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 참조는 각 3개 메서드에 순서대로 전달되며 메서드 하나의 변경 내용은 다음 메서드에도 표시됩니다 delegate 형식 변수를 호출할..
2022.01.05 -
22.01.04 대리자 delegate
--------------------------본 블로그는 개인 공부 기록용이기에 잘못된 내용이 있을 확률 50000%------------------------ 무명 함수란 말 그대로 이름이 없는 함수를 말한다. 간단한 메서드, 혹은 일회용으로 사용할 메서드를 delegate에 할당하기 위해 무명 함수를 사용하는 듯. 간단하고, 일회용이기에 따로 이름을 지정해주지 않아서 무명 함수 라고 하는 것 같다. 콜백 함수. Call Back 의 뜻은 영어로 '회신하다', '다시 전화를 걸다', '답신 전화' 이다. 그 의미에 맞게 콜백 함수란, 작업들을 받아 두었다가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되야 할 일련의 작업들을 '회신'한다. or 다시 돌려주는 기능을 말한다. C#에서는 콜백함수를 구현하기 위해 d..
2022.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