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3D(59)
-
velocity.x 값을 통해 애니메이션 제어하기
2D 기준, velocity.x 값이 어느 정도 이하 일때는 (거의 멈춰있을 때) 대기 상태 애니메이션으로 전환하도록 트랜지션을 설정한다. => Animator.SetFloat("idle", velocity.x); 반대로 어느 정도 이상일 때부터는 (걷다가 달리기 시작할 때) 걷는 애니메이션을 빨라지는 velocity.x 속도에 맞춰 빠르게 재생한다. if (velocity.x > 2.5f){ Animator.speed = velocity.x / 2f (매직 넘버);} 걷는 모션을 마치 달리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2022.01.21 -
유니티 조건문에 태그 비교할 때
https://sorting.tistory.com/12
2022.01.21 -
오브젝트가 가는 방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시키고 싶을 때
if(move_vector.magnitude > 0.01f) //오브젝트가 조금이라도 움직이기 시작할 때 { 1) Quaternion q = Quaternion.LookRotation(move_vector, Vector3.up); 2) this.transform.rotation = Quaternion.Lerp(this.transform.rotation, q, 0.1f); } 1)번 코드는 사원수 값을 구하는 것이다. (사원수가 뭔지?) 캐릭터의 정면이 move_vector 방향을, 위(머리)가 세계의 위쪽 방향(Vector3.up)을 향하도록 하는 회전값을 q로 받는다. 2)번 코드는 지금 향하고 있는 방향(this.transform.rotation)에서 q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10% 회전한 방향을 알려..
2022.01.20 -
애니메이션의 속도를 조절하고 싶을 때
animator의 speed 속성으로 애니메이션의 스피드를 코드 상에서 조절할 수 있다.
2022.01.20 -
22.01.20 MiniTest
1) 버튼을 만들고 누르면 캐릭터가 깃발까지 이동하게 한다. 깃발에 도착 시 멈춤. 2) 트랩을 만들고 캐릭터가 트랩에 닿으면 hp가 감소. 3) 골드를 만들고 캐릭터가 골드에 닿으면 gold가 증가. ※ UI 상으로 깃발까지의 거리, 캐릭터의 남은 hp, 캐릭터가 보유한 gold가 표기되게 한다. 결과 [소스코드 특이사항] 1) Canvas의 이름을 UIManager로 바꾸고 UI들을 관리할 스크립트를 넣음. 그 스크립트에는 static bool 변수가 있어서 버튼이 눌렸을 때 bool을 false로 바꾼다. 캐릭터가 이 public static bool 변수를 보고 움직여야 하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2) GameManager 오브젝트에 모든 오브젝트의 충돌을 감지하는 스크립트를 넣는다. 스크립트의 멤..
2022.01.20 -
22.01.19 Cat Escape Two
실행 결과 [소스코드 특이사항] 1) 캐릭터를 선택하는 로비씬에서 static 클래스 인스턴스를 만들었다. 인스턴스는 DontDestroyOnLoad를 통해 씬이 바뀌어도 사라지지 않는다. 참고) https://chameleonstudio.tistory.com/57 DontDestroyOnLoad 씬 이동해도 오브젝트 유지하기 해당 티스토리 페이지는 필자가 유니티 C# 개발을 하면서 학습한 내용들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페이지입니다 ! - 틀린 부분이 있거나, 수정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 - 해당 내용을 공 chameleonstudio.tistory.com 2) 그 인스턴스는 멤버로 인덱스(캐릭터 선택)를 갖고 있다가 캐릭터 버튼이 눌리면 게임씬이 로딩됨과 동시에 그 캐릭터에 해당하는 인덱스 ..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