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3D(59)
-
구글애드몹 적용 후 앱 크래쉬 해결법 + 로그캣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ame_dev&no=82442&s_type=search_name&s_keyword=%EB%AC%BC%EA%B0%80%EC%97%90%EC%BB%A4%EB%8B%A4%EB%9E%80%EC%98%A5%EB%8F%8C&page=1 [해결 사례 공유] 구글애드몹 적용 후 앱 크래쉬 현상 - 인디 게임 개발 갤러리 질문글 링크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ame_dev&no=82402&page=1해결과정 밑에 3줄요약어제 질문 올렸다가 로그캣을 확인해보라 gall.dcinside.com
2022.03.22 -
Component deleted: Component belongs to a disabled built-in package 에러 해결
https://docs.unity3d.com/Manual/upm-ui-disable.html Unity - Manual: Disabling a built-in package Removing an installed package Importing an Asset Store package Disabling a built-in package You can disable a Built-in packageBuilt-in packages allow users to toggle Unity features on or off through the Package Manager. Enabling or disabling a package redu docs.unity3d.com
2022.03.11 -
22.02.18 애니메이션 이벤트, HUD 텍스트 표기하기
애니메이션의 특정 프레임에 이벤트 부여하기 애니메이션 이벤트는 애니메이션의 특정 지점에서 특정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했던 임팩트타임 보다 간편한 방법이다. 애니메이터가 달린 컴포넌트에 애니메이션 이벤트를 받을 스크립트를 부착한다. public UnityEvent animEventTrigger = new UnityEvent(); 그리고 메인 스크립트로부터 이벤트 발생 시에 실행할 코드를 담는 이벤트 시스템 객체를 생성한다. (대리자와 비슷) 이를 위해 using UnityEngine.Events; 를 작성한다. 메인스크립트가 이벤트 시스템 객체에 AddListener로 동작을 추가하고, 애니메이션 클립에서 특정 프레임 구간에 Add Event로 그 이벤트 시스템 객체가 있는 스크립트의 함수를 호출한다..
2022.02.20 -
애니메이터 안에 클립 생성하고 싶을 때
Create New Clip 으로 동일한 애니메이터 안의 별개의 애니메이션 클립을 생성한다.
2022.02.19 -
UI 캔바스 상의 오브젝트 위치를 조절하고 싶을 때
transform.localPosition 을 통해 스크립트에서 위치 값을 제어할 수 있다.
2022.02.19 -
하나의 토글만 On 시키고 싶을 때
빈 오브젝트에 토글 그룹 컴포넌트를 넣고 토글을 그 오브젝트의 자식으로 넣는다.
2022.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