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만들고 요청하기 http, express

2022. 4. 30. 14:14Web & Server/수업 내용

 

더보기

Postman 으로 서버에 요청하기

1 : GET, POST, DELETE 등 요청 방식을 결정하는 드롭다운

2 : 요청받는 서버단에서 정한 임의의 분기문, pathname이라 한다.

서버단에서는 GET 방식의 "members"로 들어왔을 때 에 해당하는 작업을 이행한다.

3 : ?에 뒤이어 오는 문장을 쿼리문이라 한다.

서버단에서는 request.query 의 형태로 받는다.

4. request.body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express에서는 구조 분해 할당으로

const { email, password, name } = request.body; 로 email 값을 받을 수 있다.

 


 

http 방식

http 서버를 통해 요청하고 JSON으로 응답받기.

2번째 줄의 require("stream/consumers");를 써주어야 한다.

 


Express 방식

Express.js, 또는 간단히 익스프레스는 Node.js를 위한 웹 프레임워크의 하나로, MIT 허가서로 라이선스되는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출시되었다. 웹 애플리케이션, API 개발을 위해 설계되었다. Node.js의 사실상의 표준 서버 프레임워크로 불리고 있다.

 

expres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위해선

프로젝트 폴더에서 npm init -y -> npm i express 를 해주어야 한다.

 

 

 

express에서 라우팅 사용하기

먼저 메인앱.js 파일이 있는 폴더에

router.js 파일을 만들어준다.

router.js파일에서

const router = express.Router();를 해주고,

module.exports = router; 를 작성한다.

 

그럼 메인앱.js 파일에서

const memberRouter = require("./memberRouter"); 를 통해

app.use("/members", memberRouter); 를 쓸수 있게 되고

pathname이 "/members" 일 때, router.js 파일의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module.exports에 넘길 때 객체에 담아서 넘김으로써

express.Router() 말고도 함수를 넘길 수도 있다.

 

 

또는 클래스도 넘길 수 있다.

 

위의 module.exports에 담긴 것들을 사용할 때

require(./exports한 파일명)을 하면 해당 파일의 module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는 구조 분해 할당으로 필요한 함수들과 클래스만 뽑았다.

 


+

노드몬 (nodemon)설치 하기 (서버 코드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재시작 해주는 모듈)

 

 

+

프로토콜 문서를 작성해두는 것이 좋다.

'Web & Server > 수업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 Server + MySQL (CRUD) 서버와 DB 연동  (0) 2022.04.30
http method (GET, POST)  (0) 2022.04.30
22.04.15 Async  (0) 2022.04.30
22.04.15 자바스크립트 프라미스 Promise  (0) 2022.04.23
22.04.13 자바스크립트  (0) 2022.04.23